욕실 누수의 올바른 대처법 ( 3 ) - 소비자가 흔히 하는 잘못된 대처 사례

 

욕실 누수, 소비자가 흔히 하는 잘못된 대처 사례

아래는 욕실 누수 발생 시 소비자들이 흔히 겪는 상황과 잘못된 대처 방식을 생생하게 담아낸 예시입니다.

어느 날 갑자기 아랫집에서 연락이 옵니다. 거실 욕실 천장에서 물이 샌다는 내용입니다. 윗집에서는 일단 아랫집으로 내려가서 확인해 보니, 실제로 아랫집 욕실 천장이 물에 젖어 있습니다.

급한 마음에 관리사무소에 연락하자, 영선기사가 와서 윗집에서 누수에 대한 조치를 해야 한다고 말해줍니다. 윗집은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여 인터넷을 검색해봅니다. 정보를 찾아보니 일단 '누수탐지업체'를 불러야 한다고 나옵니다.

누수탐지업체를 불러 진단해 보니, 급수관에는 이상이 없고 욕실 방수층이 문제인 것 같다는 결론을 내립니다. 여기서 누수탐지 비용으로 40만원을 지불합니다.

이제 방수를 위해 욕실 방수업체를 불러 견적을 받아보니 160만원이 나옵니다. 업체에서는 이왕 공사하는 김에 전체적으로 리모델링을 하는 것이 좋다고 권유합니다. 아직 리모델링할 때가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어차피 공사하는 김에 욕실 전체 공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좀 더 욕실을 예쁘게 꾸미려다 보니 공사 비용은 총 350만원이 나왔습니다. 업체는 1년간 AS를 약속합니다.

결국 아랫집 누수는 잡았지만, 원치 않던 비용 350만원이 지출되어 당분간은 절약하며 살아야 합니다.


위 사례에서 가장 잘못된 부분은 어디일까요?

바로 누수가 생기자마자 누수탐지 업체를 부른 것입니다.

조금 다른 예이지만, '으악새'는 새가 아니라 갈대풀입니다. 하지만 이름 끝에 '새'가 들어가서 새라고 오해하는 경우가 많죠. 마찬가지로 '누수탐지업체'라는 명칭은 다소 오해의 소지가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급수관 누수 탐지 업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금 누수의 원인이 배수관인지, 급수관인지, 아니면 방수층 문제인지 파악조차 안 된 상황에서 급수관 누수 탐지 업체를 부르다니요? 게다가 비용도 최소 40만원 이상 나옵니다. 실제 욕실 누수의 원인 중 급수관 누수는 10%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일단 먼저 누수의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

아니, 누수의 원인을 찾기 위해 전문가를 불러야 하지 않나요?

아닙니다. 오히려 소비자가 더 잘 찾을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입니다. 누수의 원인을 찾는 데는 많게는 하루 이상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누수 전문가는 현장에서 10분에서 20분 정도밖에 시간을 할애할 수 없습니다.

정확한 누수 원인을 찾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중요하며, 소비자들은 누수 전문가들보다 누수 원인에 대한 판단 시간을 더 많이 가질 수 있습니다.

이제 차근차근 누수 원인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아래 링크는 " 욕실 누수의 올바를 대처법 ( 4 ) - 배수관 누수" 에 관한 글입니다.

참고하세요.

https://www.bath04.blog/2025/08/4.html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