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누수 진단으로 비용이 낭비된 실제 사례 2가지
배관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방수층 손상으로 오진하여 불필요하게 많은 비용이 발생한 두 가지 실제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사례 1: 봉수 금으로 인한 누수 오진
아랫집 욕실 누수로 인해 방수 전문 업체를 불렀습니다. 관리사무소 직원과 다른 인테리어 업자 모두 방수층 문제라고 진단하여, 그에 따라 방수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하지만 공사 후에도 누수는 계속 발생했습니다. 재차 원인을 파악해보니, 욕실 하수구 아래 물을 모으는 플라스틱 통인 '봉수'에 금이 가서 물이 새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아래는 봉수 사진입니다.)
만약 처음부터 정확한 원인을 파악했다면 공사 비용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소비자가 방수층 문제라고 강하게 주장했고, 결국 방수 업체는 방수 공사를 진행하게 된 것이었습니다. 이 경우, 방수 공사 업체의 잘못만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사례 2: 양변기 배관 금으로 인한 누수 오진
또 다른 사례는 양변기 쪽에서 누수가 발생한 경우입니다. 역시 관리사무소 직원과 다른 인테리어 업자 모두 방수층 문제라고 진단했고, 소비자는 이를 확신하여 방수 업체를 통해 욕실 방수 공사를 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공사 후 누수는 계속되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양변기 배관에 금이 가서 물이 새고 있었던 것으로, 배관 보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만약 처음부터 배관 보수를 했다면 공사 비용이 무려 2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을 상황입니다. 이 사례 역시 방수 공사 업체의 잘못만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위와 같은 오진 사례가 아주 흔한 것은 아닙니다. 거의 드물다고 할 수 있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독자님의 집에서도 이런 경우가 발생할 수 있기에 소개해 드렸습니다.
다음으로는 이러한 문제에 대한 소비자의 올바른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